2025년 예산안 요약: 취약계층·어르신·장애인 지원 확대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5년 예산안에 따르면, 취약계층과 어르신, 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이 대폭 강화됩니다. 본문에서는 분야별 핵심 내용과 변경된 지원사항을 정리해드립니다.
1. 취약계층 지원 정책
생계유지와 자립 기반을 위한 기초생활보장 4대 급여와 신규 바우처 제도가 함께 제공됩니다.
📌 생계급여: 연 2,200만 → 2,341만 원 (4인 기준)
📌 의료급여: 연 7 → 14만 원 (진료비, 약제비 포함)
📌 주거급여: 연 654만 원 (서울 기준)
📌 교육급여: 연 77만 원 (고등학생 기준)
📌 의료급여: 연 7 → 14만 원 (진료비, 약제비 포함)
📌 주거급여: 연 654만 원 (서울 기준)
📌 교육급여: 연 77만 원 (고등학생 기준)
추가 바우처 지원
- 농식품 바우처: 월 10만 원 (4인 가구)
- 에너지 바우처: 연 31.4만 원
- 통합문화이용권: 연 13~14만 원
- 스포츠강좌이용권: 연 10~10.5만 원
청년 자립 지원
- 자활성공지원금: 최대 150만 원
- 희망저축계좌 II: 정부 매칭 최대 720만 원
- 청년자립자금(신규): 최대 1,200만 원, 2.0% 고정금리
2. 어르신 복지 확대
노후 소득 보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일자리, 건강, 문화, 주거지원 정책이 강화됩니다.
노인 일자리 확대
- 전체: 103만 → 110만 명
- 민간형: 22.5 → 23.5만 명
- 사회서비스형: 15.1 → 17.1만 명
- 공익형: 65.4 → 69.2만 명
건강 · 문화 · 돌봄 서비스
- 국민체육센터 20개소 추가 설치
- 노인 전용 평생교육 바우처(신규): 연 35만 원
- 응급 호출기 30만 대 보급
고령자 주거복지 확대
- 복지주택: 연 1천호 → 3천호
- 복지주택 단지 내 복지관 4개소 신설 (건강·여가 통합 서비스)
3. 장애인 정책 강화
장애인 고용 장려 및 돌봄 체계 강화, 맞춤형 예산 확대가 주요 골자입니다.
고용 및 취업 지원
- 고용장려금: 63.3 → 75.6만 명 (월 35~90만 원)
- 취업성공패키지: 1.3만 → 1.4만 명
- 직접일자리: 3.2만 → 3.4만 명
돌봄 인프라 신설
- 최중증 발달장애인 긴급돌봄센터 시범 도입 (2개소)
- 의료집중형 거주시설 시범 도입 (1개소)
개인예산제 확대
- 시범사업 확대: 8개 → 17개 시도, 210 → 410명
- 모바일 장애인등록증 도입: 온·오프라인 신원확인 가능
▶2025년 예산안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싶다면
2025년 예산안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정책을 제공하는 포털사이트로 정책뉴스, 정책포커스, 국민이말하는정책, 정책기고, 문화칼럼, 사실은이렇습니다, 멀티미디어뉴스, 보도자료, 브리핑자
www.korea.kr
결론
2025년 예산안은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더 많은 계층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편되었습니다. 취약계층·어르신·장애인을 위한 각종 지원정책을 꼼꼼히 확인하고 활용해보세요.